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야구 보크

반응형


야구 보크 잘 이해하고 계신가요? 야구를 봐도 봐도 잘 이해되지 않는 룰 중 하나가 보크인데요. 오래 야구를 보신 분들도 헷갈리는 야구 룰 중 하나가 보크라고 합니다.

야구 보크


야구에서 보크는 투수가 반칙 투구를 했을 때 선언되는 것으로, 주자가 있을 때만 적용돼요. 보크가 선언되면 모든 주자는한 베이스씩 진루하게 됩니다. 사실상 야구를 보는 팬입장에서는 보크는 심판의 시그널로만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. 야구를 보면 볼수록 어떤 상황에서 보크가 선언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!

보크?


1️⃣투구 동작에서 멈추거나 부자연스럽게 움직임 - 세트 포지션에서 멈춘 후다시 움직이는 경우.
2️⃣투수판을 밟고 허용되지 않은 동작을 함- 투수판을 밟은 상태에서 글러브를 벗거나 공을 땅에 떨어뜨리는 경우.
3️⃣투구를 하지 않고 견제 동작 없이 갑자기 투수판에서 발을 빼는 것 -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이런 행동을 하면 보크로 판정됨.
4️⃣ 1루가 비었을 때 1루에 가짜 견제 동작을 함 -1루 주자가 없는데도 견제 동작을 하면 안 됨.
5️⃣투수가 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투수판을 밟음 - 공이 없는데도 투수판 위에서 투구 준비를 하면 반칙.
6️⃣투수의 두 발이 모두 투수판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투구 - 불법적인 투구 동작으로 간주됨.

보크는 경기 흐름에 큰 영항을 줄 수 있어서, 심판이 엄격하게 판단하는 부분이에요. kbo에서도 엄격하게 적용되는 규칙입니다. 보크가 적용되는 6가지 상황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것은 첫번째 상황인 것 같습니다.

쉽게 설명해본다면,
1. 보크란? 투수가 규칙에 어긋나는 동작을 했을 때 선언되는 반칙입니다
2. 주자에게 미치는 영향 보크가 선언되면, 모든 주자는 한 베이스씩 진루하게 됩니다.
3. KBO 적용 여부 KBO 리그에서도 보크 규정이 엄격하게 적용됩니다.





반응형